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48)
외로움의 간단한 치료법 The simple cure for loneliness (Baya Voce)는 TEDxSaltLakeCity에서 발표한 강연입니다. 그녀는 The Art of Connection이라는 웹 시리즈의 호스트입니다. 이 강연에서 그녀는 행복, 충족감, 연결감을 느낄 수 있는 간단한 도구를 소개합니다. 그 도구는 바로 Ritual입니다 (ritual : 의식, 의례, 관습. 또는 특정 신앙이나 신조에 따라 일정한 형식과 규칙에 따라 수행하는 특별한 행위) Ritual은 일상적인 행동에 의미와 의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우리가 자신과 상대방, 그리고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해 줍니다. Ritual은 우리가 외로움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Ritual은 일상적인 행동..
자신에게 행복을 주는것 TED 강연 'The Simple Secret of Being Happier' (Tia Graham) 행복은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대를 만드는 것에서 온다고 합니다 행복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인 선택을 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 의식적으로 되돌아보라고 권합니다. 행복은 성공의 결과가 아니라 성공의 원인이라고 말하며, 행복한 사람들이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이고 건강하다고 합니다 자신의 행복 수준을 평가하고, 어떤 것들이 자신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행복한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라고 권합니다. 행복은 전염되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명확히 하라고 합니다 자신이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 무엇을 위해 일하는..
우리는 좀더 재미있게 살아야한다 TED 강연 '왜 재미있는 것이 건강한 삶의 비결인가' (캐서린 프라이스) 과학 저널리스트 캐서린 프라이스는 재미있는 것이 단순히 즐거운 것뿐만 아니라 건강과 행복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녀는 재미있는 것을 새롭게 정의하고, 그것을 '진짜 재미'라고 부릅니다. '진짜 재미'란 흥미로운 활동에 몰입하고, 흐름 상태에 도달하고,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미있는 것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재미있는 것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면역력을 높여주고, 창의력을 촉진해 주고, 기억력을 향상해 주고, 관계를 강화시켜 줍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재미있는 것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을 가르쳐 줍니다. ..
75년간 진행된 인생 연구 이 강연은 로버트 월딩어라는 심리학자가 하버드 대학교 성인발달연구라는 75년간 진행된 인생 연구의 결과를 공유하는 내용입니다. 이 연구는 남성 724명의 인생을 십 대부터 노년까지 추적하면서 그들의 건강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얻은 가장 중요한 교훈은 좋은 관계가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월딩어는 관계에 관한 세 가지 커다란 교훈을 언급합니다. 첫째, 사회적 연결은 유익하고 고독은 해롭습니다. 친구나 가족, 공동체와의 긴밀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은 더 행복하고 건강하며 오래 살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고립된 사람들은 행복감이 낮고 신체적으로도 쇠약해지며 일찍 죽을 위험이 있습니다. 둘째, 관계의 품질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행복..
웃음에 대한 과학적인 사실들 소피 스콧 (Sophie Scott)이라는 인지 신경 과학자가 웃음에 대한 과학적인 사실들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웃음의 과학과 중요성에 대해 말합니다. 그녀는 웃음이 단지 농담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행동이라고 주장하며, 웃음이 우리의 건강, 관계,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그녀는 웃음이 다른 동물들과 공유하는 고대의 의사소통 방식이며,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 신뢰하고 협력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또한 웃음의 다양한 유형과 특징을 들려주고, 웃음을 유발하는 방법과 웃음을 일상생활에 더 많이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말합니다 웃음을 유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유머러스한 말장난을 하는 겁니다. 말장..
에너지 센터 ( 차크라 ) 명상할 때 우리가 알고 시작해야 하는 것처음 차크라 명상을 시작할 때, 빨리 뭔가를 이루고 싶은 마음에 여기저기서 들은 올바른 방법의 명상이 아닌 잘못된 가르침으로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도 있습니다.에너지 감각과 의식 수준(주파수)의 성장속도가 같이 깨어나지 않으면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우리 안에는 차크라라는 에너지 센터들이 있습니다. 근데 일반인들은 차크라 센터들이  거의 막혀 있는 상태인데 우리가 비워내고 청소를 하면 이 에너지 가 천천히 돌아가기 시작하고 수행이 깊어지면 에너지가 더 많이 발산이 되고 빛이 깨어나고 활성화가 되는데 , 문제는 수행을 하면서 정화를 안 하고 차크라 깨우는 것에만 집중하면 센스티브해진 몸이 정화 안 된 안 좋은 것들을 흡수하기가 더  쉬워지게 됩니다. 제일 좋은 ..
인공지능,대화형챗봇 ChatGPT 그렉 브록맨(Greg Brockman)은 OpenAI의 공동 창립자이며, 인공지능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는 ChatGPT라는 대화형 챗봇을 개발한 사람입니다. ChatGPT는 GPT-4라는 가장 고급의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인간과 같은 텍스트를 생성하고 다양한 주제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고 합니다. 브록맨(Brockman)은 강연에서 ChatGPT의 기본적인 설계 원리와 새롭게 개발된 몇 가지 플러그인을 시연했습니다 예를 들어, ChatGPT는 코드 생성, 이미지 생성, 음악 생성, 번역, 요약,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ChatGPT는 자신의 성격과 목소리를 바꿀 수 있으며, 유명인사나 캐릭터의 모방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인류에게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과 그에..
AI 친구가 될수있을까? ( 최예진, TED ) 최예진(yejin choi) 은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워싱턴 대학교 컴퓨터 공학과의 교수이자 앨런 인공지능 연구소의 선임 연구 관리자입니다 그녀는 자연어 처리, 기계 학습,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시스템이 언어와 비전, 지식, 세계, 마음, 사회 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특히 인공지능 시스템이 상식적인 지식과 추론을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녀는 ATOMIC이라는 상식적인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COMET이라는 상식적인 추론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
나의 작은 행복 나는 작은 행복을 찾는 사람입니다. 저는 매일매일 반복되는 하루하루 속에서 소소한 재미를 찾아보는 연습을 합니다. 지하철과 버스 안에서 노래 듣는 것도 좋은 재미입니다. 차창의 풍경과 함께 하는 음악은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어느새 목적지에 도착하게 합니다.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 맥주와 함께 여유롭게 즐기는 것도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주는 요소입니다 나는 작은 행복을 찾는 사람입니다. 일상 속에서 느끼는 소소한 행복들이죠. 생활 속에서 조금씩 미소를 짓게 하는 것들에 행복을 느낍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창문을 열면 따뜻한 햇살이 얼굴을 비추고, 출근을 위한 자동차 시동소리,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런 순간 나는 행복하다고 느낍니다. 나의 작은 행복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별 것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
나를 싫어하는 사람과의 대화 나를 싫어하는 사람과의 대화(Conversations with People Who Hate Me ) 프로젝트는 딜런 마로( dylan marron)가 인터넷에서 자신을 싫어하는 사람들과 전화로 대화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2017년부터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4 시즌이 방영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인터넷에서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낯선 사람들이나 친구들이 서로의 의견과 배경을 이해하고, 동정심을 보여주고, 더 나은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많은 사람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여러 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프로젝트 중에는 딜런마로(dylan marron)가 자신의 온라인 작품에 대한 부정적인 댓글이나 메시지를 쓴 사람들에게 전화를 거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그는 그들과 ..
사랑,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노만드보이어(Normand Voyer)의 '사랑의 화학'은 사람의 몸이 어떻게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그것이 우리의 감정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는 사랑에 관련된 세 가지 단계를 소개하고, 각 단계에서 활성화되는 화학 물질들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 단계 물리적 매력으로, 페로몬이나 호르몬 같은 물질들이 우리의 뇌와 몸에 영향을 줍니다. 두 번째 단계 쾌락으로,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같은 물질들이 우리의 기분을 좋게 하고, 흥분과 집중력을 높여줍니다. 세 번째 단계 애착으로, 옥시토신이나 바소프레신 같은 물질들이 우리의 신뢰와 유대감을 강화시켜 줍니다. 노만드보이어(Normand Voyer)는 이러한 화학적 반응들이 우리의 사랑을 이해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무거운 이야기 ,죽음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는다. 이것은 불변의 진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죽는다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거나 부정하려 든다. 마치 영원히 살 것처럼 말이다. 물론 나도 그랬다. 만약 내일 당장 세상이 멸망한다면 어떨까? 아마 끔찍해서 견딜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왜 그런 끔찍한 상황을 상상조차 하지 않으려고 하는 걸까? 아마도 그건 죽음 이후의 불확실성과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 후의 세계를 두려워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 활동을 하거나 사후세계를 다룬 영화 또는 드라마를 보며 위안을 얻으려 한다. 그렇다면 과연 죽음 뒤에는 어떤 세계가 기다리고 있을까? 또 죽은 자는 정말 아무것도 느낄 수 없을까? 아니면 산 자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세계일까? 혹시 영혼불멸설에서처럼..
켬퓨터는 사라지고 AI를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세상 Imran Chaudhri (임란 차우드리)는 현재 Humane(휴메인) 회사를 공동 창업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기술의 역할을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TED 무대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Humane( 휴메인)의 새로운 제품을 미리 보여주며, 이 제품이 어떻게 우리의 기기를 '사라지게' 하고 인공지능을 어디든지 가져갈 수 있게 할지 설명합니다. Humane(휴메인)은 스크린이 없는 인공지능기기이며,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대신 목소리와 제스처로 커뮤니케이션하며, 우리의 감정과 상황에 따라 반응하고, 우리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적응하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Humane의 제품이 우리에게 더 많은 자유와 창의성을 주고, 우리가 기술과 세상과의 상호작용을 다시 정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합니다. Imran Cha..
무엇이든 배우는 방법 과 비지니스 The first 20 hours - how to learn anything ( 처음 20시간 - 무엇이든 배우는 방법) Josh Kaufman(조쉬 카우프만) 그는 'The Personal MBA: Master the Art of Business'(개인MBA: 비지니스 기술 마스터)라는 베스트셀러 책의 저자이고, 그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게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전문으로 합니다. 이 강연에서 그는 첫 아이를 낳은 것이 어떻게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하는 데 영감을 줬는지를 공유합니다. 이 강연에서 Josh는 어떤 것이든 배우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10,000시간이 아니라 20시간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10,000시간 규칙은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기 위한 것이고, 일반인들은 ..
열심히 일하는게 좋은건가? 'Does working hard really make you a good person? 이 강연은 사회심리학자인 아짐 샤리프(Azim Shariff)가 2021년 11월에 TED에서 발표한 것으로, 세계 곳곳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도덕적으로 좋은 사람이라고 인식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노력에 대해 더 의미 있는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을 제안하는 내용입니다. 샤리프는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전달합니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도덕적으로 좋은 사람이라고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샤리프는 이 현상의 뿌리를 종교적인 윤리와 경제적인 체제에 찾습니다. 그는 기독교의 성경에서 나오는 '땀 흘려 일하라'는 구절과 '게으름은 죄다'는 교리가 열심히 일하는 것을 도덕적으로 칭찬하고 게으르게 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