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완벽주의자를 위한 행복 수업 ( 탈 벤 샤하르 )

 

 

하느님 제가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평온함과  제가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용기와  변화시킬 수 없는 것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지혜를 주십시오

 

완벽주의자들을 위한 행복수업 , 책표지

완벽주의자를 위한 행복 수업 ( 탈 벤 샤하르 )  하버드대 최고의 행복학 강의를 지도한 탈 벤 샤하르교수가 쓴 이 책은 완벽주의의 실체를 밝히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며 좀 더 행복한 삶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다룹니다.  책을 최대한 유익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설을 읽듯 단숨에 읽지 말고 천천히 읽으면서 쉬었다가 다시 출발하고  읽은 내용을 생활에 적용하면서 성찰하는 시간을 가지기 바란다고 합니다   

 

인생에서 실패는 불가피한 것으로 결국 성공에 도움을 준다.  우리는 넘어지면서 걸음마을 배우고 옹알이를 하면서 말을 배우고 실투하면서 슈팅을 배우고 삐뚤삐뚤 색칠하면서 그림을 배운다. 실패를 극도로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결국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실패를 하지 않으면 배울 수 없다.

 

 

고통스러운 감정에 대한 거부

행복한 삶은 첫째 언제나 긍정적인 감정들로 이루어진다.  둘째 질투나 분노 실망이나 슬픔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다.  하지만 사실 불편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야 말로 사이코 패스다.  그리고 죽은 자 들이다. 실제로  이따금 이런 감정을 느끼는 것은 좋은 신호다.  사이코 패스도 아니고 확실하게 살아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역설적이지만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지 못하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능력도 제한된다.  우리가 느끼는 모든 감정은 같은 경로를 따라 흐르므로  고통스러운 감정을 차단해 버리면 간접적으로 즐거운 감정까지 차단된다.  또한 고통스러운 감정은 가두어 두면 점점 확대되고 강력해진다.  그렇게 억눌린 감정은 어떤 식으로 든 터지게 되는데 그때는 꼼짝없이  감정에 휘말릴 수밖에 없다.  고통스러운 감정은 인간이 느끼는  경험의 일부이다. 따라서 그런 감정을 거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인간성의 일부를 거부하는 것이다  충만하고 충실한 삶 즉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모든 감정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우리 자신에게 인간적인 감정을 허락해야 한다. 

 

 

완벽주의와 최적주의 

완벽주의 자는 어떤 목표를 향해 가는 길이 나 인생자체가 아무런 장애물이 없는 탄탄대로이기를 기대한다.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어떤 일에서 실패하거나 무언가가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으면 극도로 실망하고 당황한다. 반면 최적주의자는 실패를  삶의 일부이자 성공과 밀접하게 연결된 경험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지 못하거나 배우자와 말다툼하는 것은  충만하고 충실한 삶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한다.  우리는 그런 경험을 통해 더욱 강해지고  더욱 회복 탄력성이 강한 사람이 된다. 완벽주의자는 행복한 삶이란 궁정적인 감정들이 물 흐르듯 계속 이어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당연히 행복해 지기를 원하기 때문에 고통스러운 감정을 거부한다.  완벽주의자는 결코 만족할 수 없다.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기준과 목표를 세우기 때문에  처음부터 성공할 가능성을 거부하는 셈이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

어떤 긍정적 성향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그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바꾸는 것은 어려워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일관성을 높이 평가한 사람들은 정직성에서 벗어나는 것을  힘들어했다.   그 이유는 마음 한구석에 정직성을 버리면  일관성까지 줄어들 수 있을 거라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과도한 죄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은 감수성을 잃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또 지나치게 걱정이 많은 사람은  걱정하지 않으면 책임감을 버리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이다.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현실에서 멀어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는  실제로 그런 행동을 또 다른 이름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왜 완벽주의 때문에 불행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바꾸기 힘들었을까? 그것은 내가 완벽주의를 문제시하면서도 또한 그것을 신중하고 철저한 성격과 연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일을 대충대충 하는 게으른 인간이 되고 싶지 않았다. 

 

 

변화에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 --제임스 고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