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무의식
"1억 원을 갖고 싶다"와 같은 미래의 욕망은
"복권에 당첨되면 좋겠다"와 비슷한 수동적인 바람입니다.
뇌는 이러한 표현을 들을 때
그것을 수동적인 욕망으로 해석하고
몸에게 행동을 명령하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뇌에게 "나는 낮잠을 잘 테니,
정말로 무언가를 하고 싶을 때 깨워줘"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면에 "1억 원 이상은 필요 없다"라고 중얼거리면,
이는 1억 원까지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는 욕망이 아니라 필요에 반응합니다.
그래서 복권에 당첨되어 1억 원을 얻는 것은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이번 달에 1억 원을 마련하지 않으면
회사가 파산할 것이다"라는 필요에 직면하면 행동에 나서게 됩니다.
뇌는 필요를 느낄 때 몸을 움직이도록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한계의 약 80%에 도달했을 때
새로운 한계를 설정하세요.
그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운이 좋다고 말해야 운이 좋아진다 중에서 --
https://youtube.com/shorts/dIb6SEdZAaE?si=Qfrc1Z16CQ3kMqXP
Meta-unconscious
A future desire like "I want to have 100 million won"
is a passive wish,
similar to saying "It would be nice to win the lottery."
When the brain hears such expressions,
it interprets them as passive desires
and does not command the body to take action.
It's like telling the brain, "I'll take a nap,
wake me up when I really feel like doing something."
On the other hand,
if you mumble that you don't need more than 100 million won,
it implies that you need up to 100 million won.
The brain doesn't act on wishes but on needs.
So, while it's unlikely to win 100 million won in the lottery,
if you're faced with a necessity like
"If I don't raise 100 million won this month,
the company will go bankrupt, " then you'll feel pressured to act.
The brain is structured to make the body move when it feels the need.
When you approach about 80% of your limit, set a new limit.
By doing so, you can achieve your desired goals.
--From Luck Is Something You Can Choose--